오늘은 패키지 매니저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알아보려 합니다. 이미 많은 패키지 매니저를 알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죠..
NPM: Node.js의 핵심 동반자
NPM(Node Package Manager)은 이름부터 눈치채셨겠지만 Node.js 개발의 필수 도구입니다. 이 패키지 관리자는 무수히 많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npm install
명령어 한 줄로 필요한 모든 것을 설치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죠. 하지만 가끔은 너무 많은 의존성이 프로젝트를 느리게 만들 수 있어, 관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Yarn: 속도와 안정성을 중시하는 선택
Yarn은 NPM과 유사하게 JavaScript 생태계를 위한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Yarn의 가장 큰 장점은 속도와 안정성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캐시 기능을 활용하여 한 번 다운로드한 패키지를 재사용함으로써 설치 시간을 대폭 줄여줍니다. 또한,
yarn.lock
파일을 통해 프로젝트의 의존성을 보다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죠.Yarn Berry: Yarn의 상위호환
Yarn Berry는 Yarn의 최신 버전으로, "Plug'n'Play" 기능과 함께 더욱 향상된 성능과 편리성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은 전통적인
node_modules
방식을 벗어나, 패키지 설치 과정을 최적화하여 프로젝트의 시작 시간과 디스크 사용량을 줄여줍니다. 새로운 방식이기 때문에 초기 학습 곡선이 필요하지만, 한 번 익숙해지면 프로젝트 관리가 훨씬 용이해집니다.TurboRepo: 모노레포 관리의 혁신
TurboRepo는 여러 개의 관련 프로젝트를 하나의 저장소(모노레포)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의존성 관리, 빌드, 테스트 등을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어, 큰 규모의 프로젝트나 여러 마이크로서비스를 운영하는 팀에게 이상적입니다. 설정과 관리가 복잡할 수 있으나, 프로젝트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NPM: 효율적인 패키지 관리
PNPM은 공간 효율성에 중점을 둔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를 활용하여
node_modules
의 크기를 줄이고, 패키지 중복 설치를 방지합니다. 이를 통해 디스크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설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NPM은 자원을 절약하면서도 빠르고 안정적인 패키지 관리를 원하는 개발자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각 패키지 관리자는 고유의 장점과 특성을 가지고 있어,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과 팀의 작업 방식에 따라 가장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새로운 도구를 시도해보는 것은 개발 과정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으며, 개발자로서의 경험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각 도구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프로젝트의 특정 상황에 맞게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나은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하지만, 매번 공부할 시간도 없고..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것들 위주로만 사용하다보니.. 언제쯤 TurboRepo와 PNPM, Bun 이런애들을 사용해볼까요…
프로젝트에 최적화된 패키지 매니저 선택하기
패키지 관리자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습니다:
- 속도와 성능: 대규모 프로젝트나 의존성이 많은 프로젝트의 경우, 설치 속도와 전반적인 성능이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Yarn과 PNPM은 이러한 면에서 최적의 퍼포먼스를 보여줍니다.
- 안정성과 호환성: 프로젝트의 의존성을 정확하게 관리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Yarn의
yarn.lock
파일은 의존성 관리에 있어 큰 장점을 제공합니다.
- 모노레포 지원: 여러 개의 관련 프로젝트를 한 곳에서 관리해야 하는 경우, TurboRepo와 같은 도구가 프로젝트 관리를 간소화하고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물론 거의 대부분의 패키지 매니저가 workspace를 제공하긴 합니다. 하지만, 제각각 추구하는 방식이 다르죠. Yarn Berry의 모노레포도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지만, 참조하는 레포도 동일한 패키지를 설치해야한다는 점에서 사이드 이펙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옛 버전의 A 프로젝트를 참조하는 신규 B프로젝트에서의 버전차이..)
- 자원 사용량: 프로젝트의 디스크 공간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싶은 경우, PNPM이 제공하는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를 사용하는 방식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얼마나 많은 레퍼런스를 갖고있느냐..
패키지 관리자를 선택할 때, 각 도구의 커뮤니티 활동과 지원도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활발한 커뮤니티는 문제 해결, 새로운 기능 개발, 사용자 간의 정보 공유 등에 있어 큰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NPM과 Yarn은 오랜 시간 동안 널리 사용되어 온 만큼, 크고 활발한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PNPM이나 TurboRepo는 비교적 새로운 도구이지만, 혁신적인 기능과 성능 향상으로 빠르게 사용자 기반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Bun은.. 어우.. 공식문서 이외에 예제는 좀 찾기 힘듭니다..
언제나 또 이야기하는 학습..
기술의 세계에서는 항상 새로운 도구와 기법이 등장합니다. 특히 JS, FE에는 더 빠르게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죠.
따라서, 개발자로서의 성장은 지속적인 학습과 적응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다양한 패키지 관리자를 실험해보고, 각 도구의 장단점을 직접 경험하는 것은 여러분이 더 나은 개발자가 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어떤 도구가 여러분의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지는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 팀의 작업 방식, 그리고 개인적인 선호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패키지 관리는 프로젝트의 성공에 있어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프로젝트의 기반을 견고하게 다질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 과정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되고, 팀원 간의 협업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최종 제품의 품질도 향상될 수 있습니다. 각 패키지 관리자는 고유의 기능과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프로젝트의 특정 요구에 가장 잘 맞는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선택은 프로젝트의 성공뿐만 아니라, 개발 팀의 효율성과 만족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패키지 관리자를 선택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도구의 문서를 잘 읽고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문서는 각 도구의 기능, 설정 방법, 최적의 사용 사례 등을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패키지 관리자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Bun을 사용해서 모노레포 환경을 구축했을때 문서를 깊게 읽지 않아 정말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쳤었습니다. 문서는 언제나 옳고. 문서 안에는 모든 내용이 담겨있다 생각합니다. 그러니 대충 보지 않았으면 합니다.
여러분이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자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그것의 장단점을 알게 되면, 여러분은 더 나은 아키텍처 결정을 내리고, 프로젝트의 의존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결국 프로젝트의 안정성과 유지보수성을 크게 높일 것입니다.
결국, 선택한 패키지 관리자가 프로젝트의 요구사항과 잘 맞는다면, 그것은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완성에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따라서, 여러분의 프로젝트와 팀에 가장 적합한 패키지 관리자를 신중히 선택하고, 지속적으로 그 사용법을 학습하며, 그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세요. 이렇게 함으로써, 여러분은 더 나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개발자로서의 경력을 더욱 성장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